위대한 포기의 시작
팔리 경전을 보면, 싯다르타 왕자의 젊음과 그가 왕위를 포기한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젊은 싯다르타는 다른 여러 궁전을 가진 극도로 사치스러운 삶을 살았다. 인도의 삼계절을 각각 즐길 수 있는 저마다 다른 처소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싯다르타가 성숙해지자, 다른 살아있는 존재들처럼, 자신도 노화, 질병, 그리고 죽음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깨닫고 마음이 늘 무거웠다. 젊음, 건강, 그리고 삶에 대한 도취는 그저 한 갓 헛된 꿈으로 밖에는 느껴지지 않았던 것이다. 싯다르타가 머리털과 수염을 깎는 동안, 그의 부모는 눈물을 흘리며 지켜보았다. 결국 싯다르타는 금욕주의자의 삶을 살기 위해 집을 떠나게 되었다. 싯다르타는 늙지 않고, 고통스럽지도 않으며, 죽지도 않고, 슬프지도 않으며, 더럽혀지지도 않고, 속박으로부터 최고의 안전한 그 무엇인가를 찾기 위해 방랑자의 길을 떠난 것이다. 싯다르타에 대한 많은 기록들은 이와 관련된 사건들에 대해 더 극적인 묘사를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싯다르타의 아버지 수도다나 왕이 처음부터 어떻게 그의 출가자의 삶을 막으려고 노력했는지에 관한 것과 같은 것이다. 아버지 수도다나는 그의 아들을 관능적인 쾌락으로 묶어 궁전을 떠나지 못하도록 했다. 서둘러 결혼을 주선했던 일뿐만 아니라, 젊은 여자들과 온갖 화려한 노래와 춤추는 무희 등 남자들이 바랄 수 있는 모든 쾌락들로 아들을 묶어놓으려고 했던 것이다.
네 가지의 경험
그러던 어느 날 젊은 싯다르타 왕자는 바깥세상을 보고 싶어, 전차를 타고 나가게 되었다. 도심의 수도를 지나게 되었을 때, 싯다르타는 그곳에서 처음으로 노쇠한 노인을 보게 되었다. 이를 보고 충격을 받은 싯다르타는 자신의 전차병에게 그 노인의 상태에 대해 물었다. 그러나 전차병은 늙는 일은 모든 인간의 운명이라고 대답했다. 왕자는 힘없이 다시 궁전으로 돌아왔다. 그 이후로 싯다르타는 궁전에서 벌어지는 유쾌한 시간이 즐겁지 않았고, 늘 우울하게 생각에 잠겨 있게 되었다. 두 번째 왕궁 밖으로 나가게 되었을 때, 싯다르타는 병이 든 남자를 보게 되었다. 그것을 보고 싯다르타는 이렇게 끊임없는 질병의 그늘 아래서 나 홀로 유쾌함을 즐기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여겼다. 세 번째, 왕궁 밖으로 나가게 되었을 때는 우연히 시체를 보게 되었다. 싯다르타는 사람들이 참으로 어리석게 아무 생각 없이 부주의하게 살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싯다르타는 온갖 관능적인 기쁨은 덧없으며, 죽음은 항상 삶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모든 것을 어둡게 한다고 생각했다. 실재하는 행복, 즉 진정한 행복은 이러한 변화에 좌우되지 않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 것이다. 하찮은 쾌락의 추구는 성취감이나 고귀함으로 여겨질 수 없다고 여긴 것이다. 네 번째, 싯다르타는 다시 말을 타고 나가서, 농부들이 쟁기질을 하는 것을 관찰했고, 보통의 귀족들과는 달리 노동자들과 황소들의 고통을 보았으며, 심지어 쟁기에 의해 벌레와 곤충들이 도살당하는 모습에 비탄을 금치 못했다. 그렇게 고통이란 무엇인가를 묵상하던 중, 그는 종교적인 수행자를 보고, 결국 왕궁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수행을 하려면, 오직 모든 것을 포기했을 때 가능할 것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수련의 길
싯다르타는 드디어 정신 훈련의 길을 온전히 수행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한밤중에 싯다르타는 그의 아내와 갓난 아들을 마지막으로 보고, 자신의 말에 올라탔으며, 결국 도시를 빠져나가게 되었다. 싯다르타는 꽤나 먼 거리를 여행한 후, 말에서 내려 그의 말을 아버지가 계신 왕궁으로 다시 돌려보냈다. 싯다르타가 가지고 있던 온갖 장신구들과 화려한 옷들도 함께 버렸으며, 그리고 나서 자신의 머리를 자르고 옷을 바꿔 입었다. 이러한 에피소드의 핵심은, 싯다르타가 위대한 포기를 했다는 것이다. 가정과 화려한 지위를 모두 포기했던 그의 선택은 지금의 우리가 과연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버릴 수 있을 만큼 포기할 수 있는 무엇인가가 있는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이렇게 왕궁을 떠난 싯다르타의 소식을 알게 된 아버지 수도다나는 자신의 아들이 출가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게 된다. 싯다르타는 아버지를 사랑했지만, 훨씬 더 높은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모든 것을 포기하는 삶을 마침내 선택하게 된 것이다.
'불교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듭된 전생의 표현, 생명의 수레바퀴 (0) | 2022.09.18 |
---|---|
싯다르타의 각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0) | 2022.09.17 |
마라의 유혹과 부처의 자세 (0) | 2022.09.17 |
부처의 생애: 탄생과 어린 시절 (0) | 2022.09.17 |
부처의 각성: 사회적 배경을 통해 본 깨달음의 시작 (0)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