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 관련 정보25

기적적인 사건들: 예상치 못했던 일 기적적인 이야기 경전에는 싯다르타와 관련된 많은 다른 기적들이 기록되어 있다. 싯다르타가 가르침을 펴던 와중에 일어난 하나의 일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한 번은 스라바스티에서 싯다르타가 코살라의 왕 프라세나짓 앞에서 공개 토론을 통해 승리했다. 싯다르타는 공중을 번갈아 흐르는 물줄기를 만들어냈으며, 싯다르타의 몸의 다른 부분들에서는 물과 불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또한 싯다르타는 몸의 여러 이미지를 만들어, 그들에게 가르침을 설교하게 했고,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망고 나무가 즉시 열매로 가득 차게 하는 모습을 보인 기적도 있으며, 씨앗에서 자라 하늘에 보석으로 장식된 계단을 만들기도 했다고 한다. 그 후 싯다르타는 가르침을 펴기 위해, 3개월 동안 그곳에서 33명의 사람들과 천국으로 .. 2022. 9. 20.
수행과 달성: 사성제에 달성한 방법 실천 및 달성 사성제라는 고귀한 진리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어떤 작업을 해야 할까? 이를 위해서는 명상이라는 것을 통해 생각을 분석해야 한다고 싯다르타는 말했다. 경전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르면, 싯다르타는 안팎의 호흡을 관찰함으로써 마음을 챙기는 연습을 했다고 한다. 그는 고요한 장소를 찾아 다리를 꼬고 앉아 집중하는 시간을 많이 가졌는데, 호흡에 집중하면서 전신에 대한 인식을 발달시켰으며, 숨을 잔잔히 유지시키고, 생각에 초점을 꾸준히 맞추었더니 황홀감과 여유로움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한다. 싯다르타는 또한 그러한 감정들이 온몸에 스며들고 가득 차서 결국 디야나라는 해탈의 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올바른 집중력을 가지게 되면, 황홀함과 편안함을 함께 경험할 수 있으며, 순수한 마음가짐과 평온한 상태로 신체를.. 2022. 9. 20.
마음의 병을 치료해 주는 부처님과 사성제 교리 의사 같은 부처님 모든 불교 전통은 부처님을 의사라고 부른다. 모든 영적 병폐를 찾아 치유해준다는 의미로써 파악된다. 싯다르타가 얘기한 교리들은 마치 의학적 진단을 통해, 마음의 병이 되는 원인을 찾아내어 치료해 주는 것과 유사하다. 마음의 고통을 없애고, 이를 치유해야 할 치료법을 제시해주는 방식으로 경전에서는 싯다르타의 가르침을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치료법을 시행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건을 없앨 수 있는 사고의 분별력이다. 무지와 갈망을 파악하고, 이를 위해서는 명상을 해야 한다. 명상을 통한 사고의 진단만이 치료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싯다르타는 사람들에게 세상의 진실을 납득시키고, 동시에 그들에게 스스로 치료제를 투여하도록 영감을 주어야만 했다. 그래서 싯다르타.. 2022. 9. 19.
마지막 출생: 윤회의 중단과 설교 설교의 내용 여전히, 다섯 명의 수행자들은 싯다르타를 친구라고 불렀지만, 싯다르타는 그들에게 이제부터는 더 이상 그렇게 말하지 말라고 얘기한다. 싯다르타는 이제 타타가타와 같은 부처가 되었고, 존경할 만한 사람으로 여겨지는 아랑트였으며, 완벽하게 깨우친 사람이었다. 싯다르타는 자신이 죽음을 초월한 경지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그리고서는 그의 교리를 가르치게 된다. 싯다르타는 다섯 명의 수행자들에게 만약 그들이 그가 가르친 대로 연습만 한다면, 그들 또한 빨리 자신이 얻은 경지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싯다르타는 이 모든 것을 스스로 깨달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다섯 명의 수행자들은 싯다르타의 말이 의심스러웠고, 그가 주장하는 바를 부정했다. 싯다르타는 그들에게 만약 지금 노력을 그만두면 절대 초월을 이룰.. 2022. 9. 19.
스승으로써의 부처님: 가르침의 전파 첫 전파의 진실 모든 경전 기록에는 싯다르타의 깨달음 이후 첫 7주간의 시간을 묘사하고 있다. 보드가야 근처의 깨달음의 나무 근처에서 깨어난 싯다르타가 있었다. 그런데 그때, 어떤 두 상인이 와서, 꿈에 죽은 친척의 영혼이 어떤 나무 기슭에 앉아 있는 부처에게 제물을 드리라고 권했다며 싯다르타에게 말했다. 그들은 꿀 케이크를 제공했다. 그리고는 싯다르타에게 가르침을 전수받고, 부처의 첫 제자가 되게 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싯다르타는 어떠한 깨달음에 대한 내용이나 교리를 설교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두 남자는 단지 제물을 올리고, 싯다르타의 말을 경청했을 뿐이었는데, 싯다르타가 얘기하는 내용에 깊은 공감과 이해를 통해 그들 스스로 싯다르타의 제자가 되기를 원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당시 많은 사람.. 2022. 9. 19.
12 단계에 걸친 생명의 흐름: 고통의 원인 노화와 죽음 노화와 죽음은 반복된 출생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만약, 출생이 없다면, 노화와 죽음이라는 현상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우리가 유의해야 할 사항은 인과관계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노화와 죽음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출생, 노화, 사망뿐만 아니라 정신 상태의 반복된 발생, 부패, 소멸 또한 인과관계의 측면에서 파악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육체적인 측면과 더불어 정신적인 측면도 인과관계의 범주에서 이해될 수 있다. 싯다르타는 아마도 자신의 육체적인 출생, 노화, 죽음을 통해, 스스로의 정신 상태를 분석하고, 그것들을 통해 이러한 출생, 노화, 죽음의 과정들이 우주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 것에 가장 관심을 가졌을 것이다. 출생의 관건은 사람이 되느냐에 .. 2022. 9. 18.